98년에 제작한 프리에 쓰이는 포노를 만들었었습니다.
이 포노는 카운터포인트인가 sa5의 포노단을 복각한것이지요.
단. 5의 포노는 고정바이어스 방식이였지요. 이것을 자기바이어스로
바꾼 회로 입니다. 회로도는 음.. 어디있는지.. 모르겠군요..
개별로 사용할수 있는 전원부를 설계를 하여 놓았지요.
그러나 지금 포노엠프를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98년에도 적었는데.. 그럼.
그때 당시 공제한 글입니다..
포노 부품 리스트
품목 규격 수량
R1,3 저항 32.4KΩ 1/4W 1% 2
R2,4 저항 17.4KΩ 1/4W 1% 2
R5,6 저항 33KΩ 2W 5% 2
R7,8,19,20 저항 680Ω 1/2W 1% 4
R9,10,13,14,25,26 저항 1MΩ 1/4W 1% 6
R11,16 저항 137Ω 1/2W 1% 2
R12,15 저항 100KΩ 1/4W 1% 2
R17,18 저항 15.4KΩ 1/4W 1% 2
R21,24 저항 200Ω 1/2W 1% 2
R22,23 저항 20KΩ 2W 5% 2
C1,2,3,4,5,6 커플링 1uF / 200V 6
C7,8,9,10 탄탈 100uF / 10V 4
C23,24 마일라 3PF 2
진공관 소켓 MT9PIN 2
진공관 6DJ8 2
실드켑 MT9P용 2
어스고정용 단자 1
비마 0.0047/250V 1
자작방법...
진공관에 대하여 공급되는 진공관은 여러 가지 종류가 됩니다.
6DJ8, 6922, 7308, 6BQ7, ECC88, 등이고 아 ECC88이라는 것은
없군요. (유럽관)
우선 기판을 고정하여야 하는 곳을 표시를 하여야 합니다.
드릴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고 플라스틱지지대로 기판을 고정합니다.
소켓을 땜하여 장작을 하고 실드켑을 볼트로 고정을 시킵니다.
(주의) 고정용볼트와 소켓의 핀이 SORT가 있는지 분명히 TESTER로
확인을 합니다.
셀렉터 기판에 약간의 작업이 필요한데...
우선 셀렉터 기판을 분해한 뒤 AUX쪽의 그라운드 페턴 (RCA쪽면에 있음.)
을 칼로 그어 연결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분명히 TESTER로 확인을 합니다.
입력은 기판에 있는 INL GNDL INR 에 들어갑니다. 단. 여기서 RCA의
신호선과 그라운드선이 와야 합니다. 기존의 RCA에서 신호선을 연결하는
홀에는 연결을 하지 않습니다.
출력은 OUTL GNDH OUTR에서 기존 RCA연결용 홀로 그리고 그라운드는
짤린쪽의 왼쪽에 연결을 하면 됩니다.(AUX의 입력을 오른쪽으로 보았을 때)
이는 입력신호계의 크기와 관계있는것이므로 꼭 지켜야 합니다.
그래서 포노의 전원부는 그라운드 연결이 없습니다.
(출처 : 성문당신광사의 엠프자작의 키포인트중 포노연결)
전원연결은 195에서 한선 그리고 히터에서 2선이 연결되면 됩니다.
입력쪽에 있는 2핀은 개방시 MM을 SORT시 MC가 되도록 되어있습니다.
(월간오디오 98년 6,7월호 카운터 포인트 SA.5 회로 참조)
참고로 오리지날 회로와 전압이 틀립니다. 오리지날 회로는 고정바이어스
이회로는 자기바이어스입니다.
어스 연결단자는 aux옆에 구멍을 뚫고 설치하고 포노의 그라운드와
0.0047/250v의 비마콘덴서로 연결하면 됩니다. 단. 이것을 설치하지 않고
들어서 이상이 없다면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 포노는 카운터포인트인가 sa5의 포노단을 복각한것이지요.
단. 5의 포노는 고정바이어스 방식이였지요. 이것을 자기바이어스로
바꾼 회로 입니다. 회로도는 음.. 어디있는지.. 모르겠군요..
개별로 사용할수 있는 전원부를 설계를 하여 놓았지요.
그러나 지금 포노엠프를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98년에도 적었는데.. 그럼.
그때 당시 공제한 글입니다..
포노 부품 리스트
품목 규격 수량
R1,3 저항 32.4KΩ 1/4W 1% 2
R2,4 저항 17.4KΩ 1/4W 1% 2
R5,6 저항 33KΩ 2W 5% 2
R7,8,19,20 저항 680Ω 1/2W 1% 4
R9,10,13,14,25,26 저항 1MΩ 1/4W 1% 6
R11,16 저항 137Ω 1/2W 1% 2
R12,15 저항 100KΩ 1/4W 1% 2
R17,18 저항 15.4KΩ 1/4W 1% 2
R21,24 저항 200Ω 1/2W 1% 2
R22,23 저항 20KΩ 2W 5% 2
C1,2,3,4,5,6 커플링 1uF / 200V 6
C7,8,9,10 탄탈 100uF / 10V 4
C23,24 마일라 3PF 2
진공관 소켓 MT9PIN 2
진공관 6DJ8 2
실드켑 MT9P용 2
어스고정용 단자 1
비마 0.0047/250V 1
자작방법...
진공관에 대하여 공급되는 진공관은 여러 가지 종류가 됩니다.
6DJ8, 6922, 7308, 6BQ7, ECC88, 등이고 아 ECC88이라는 것은
없군요. (유럽관)
우선 기판을 고정하여야 하는 곳을 표시를 하여야 합니다.
드릴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고 플라스틱지지대로 기판을 고정합니다.
소켓을 땜하여 장작을 하고 실드켑을 볼트로 고정을 시킵니다.
(주의) 고정용볼트와 소켓의 핀이 SORT가 있는지 분명히 TESTER로
확인을 합니다.
셀렉터 기판에 약간의 작업이 필요한데...
우선 셀렉터 기판을 분해한 뒤 AUX쪽의 그라운드 페턴 (RCA쪽면에 있음.)
을 칼로 그어 연결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분명히 TESTER로 확인을 합니다.
입력은 기판에 있는 INL GNDL INR 에 들어갑니다. 단. 여기서 RCA의
신호선과 그라운드선이 와야 합니다. 기존의 RCA에서 신호선을 연결하는
홀에는 연결을 하지 않습니다.
출력은 OUTL GNDH OUTR에서 기존 RCA연결용 홀로 그리고 그라운드는
짤린쪽의 왼쪽에 연결을 하면 됩니다.(AUX의 입력을 오른쪽으로 보았을 때)
이는 입력신호계의 크기와 관계있는것이므로 꼭 지켜야 합니다.
그래서 포노의 전원부는 그라운드 연결이 없습니다.
(출처 : 성문당신광사의 엠프자작의 키포인트중 포노연결)
전원연결은 195에서 한선 그리고 히터에서 2선이 연결되면 됩니다.
입력쪽에 있는 2핀은 개방시 MM을 SORT시 MC가 되도록 되어있습니다.
(월간오디오 98년 6,7월호 카운터 포인트 SA.5 회로 참조)
참고로 오리지날 회로와 전압이 틀립니다. 오리지날 회로는 고정바이어스
이회로는 자기바이어스입니다.
어스 연결단자는 aux옆에 구멍을 뚫고 설치하고 포노의 그라운드와
0.0047/250v의 비마콘덴서로 연결하면 됩니다. 단. 이것을 설치하지 않고
들어서 이상이 없다면 하지 않아도 됩니다.
'백작의 DIYAUDIO > 자작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의 a20 자작기... (0) | 2002.01.07 |
---|---|
lm3886을 이용한 6체널 파워 만들기... (0) | 2002.01.02 |
98년에 공제한 진공관 dac pcb사진. (0) | 2001.12.21 |
98년에 공동제작한 진공관 dac자작기사... 1 (0) | 2001.12.14 |
진공관엠프를 쉽게 해석하는... (0) | 200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