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테뉴에이터 자작기.... 오디오 프리를 만들면서 가장 문제가 되는것은 물론 케이스입니다. 그리고 다음이 제 생각에는 볼륨이지요. 어테뉴에이터.. 이것을 처음 알게된것은 이재홍씨의 자작기사를 보고 조립을 하여 사용하였지요. 그러나 자작이 힘들고.. 하여 나름대로 재 조합을 하였습니다. 기존의 힘든작업은 그림1의 경..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2.01.07
패스의 a20 자작기... 처음 패스의 a20을 자작하려 하였던것은 아니였습니다. 다만 tr소리가 어떨까 하여.. (지금까지 자작은 진공관과 fet만) 제작하게 되었지요. 시작은 기왕 만드는 김에 좋게 만들지 뭐.. 하여 올켄으로... 하기로.. 하고. 진행을 하였습니다. 기판을 뜨고 그위에 방열판을... 그리고 전원부는 심플하게.. 그대..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2.01.07
lm3886을 이용한 6체널 파워 만들기... 예전에 제가 호윤군 사이트에 공제로 진행한 lm3886파워엠프 pcb를 이용하여 만든 6체널 파워 입니다. 89미리의 케이스에 6체널을 넣었지요. 전원은 간단한 전원부로 트로이달을 2개 사용하여 양전원을 만들었습니다. 트로이달은 예전기기의 산업용 모델에서 적출하여 사용한것으로 24볼트가 나왔습니다. ..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2.01.02
포노입니다. 6dj8 2구 98년에 제작한 프리에 쓰이는 포노를 만들었었습니다. 이 포노는 카운터포인트인가 sa5의 포노단을 복각한것이지요. 단. 5의 포노는 고정바이어스 방식이였지요. 이것을 자기바이어스로 바꾼 회로 입니다. 회로도는 음.. 어디있는지.. 모르겠군요.. 개별로 사용할수 있는 전원부를 설계를 하여 놓았지요...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1.12.22
98년에 공제한 진공관 dac pcb사진. 이렇군요. 그때에 디지탈부만 3번을 작업하였지요. 아날단은 1번더 작업을 하였고... 음.. 그러고 보니.. 오래 동안 사용하였군요. 벌써 4년이라. 아직도 소리가 좋아 사용하지요. 이번에 하는 dac4.0의 아날로그를 dac1의 아날로그로 할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혔지요. 그럼.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1.12.21
98년에 공동제작한 진공관 dac자작기사... 1 그때 올린 글입니다. 사양이지요.. 당시로는 최고의 것을 만든다고 하여 시작을 하였지요.. 제작하게 될 d/a컨버터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디지탈부 CS8414(96KHz 대응) (3입력 동축, 1입력 AES/EBU) SM5842 (24비트 출력에 8배오버셈플링) PCM1702 (20비트 D/A컨버터) 이후 AD1862(20비트급) 혹은 PCM1704(24비트급) 의 ..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1.12.14
진공관엠프를 쉽게 해석하는... 경어체를 사용하였습니다. 아래 글은 제가 올린글입니다. 이글을 이해하기 쉽게 하는 회로는 곧 자료실에 올리겠습니다. 아마 아시는 분도.. 92년에 만든 제 1호 진공관 파워를 만들면서 얻어진 것을 올린것입니다. 음.. 우선 많이 쓰는 공식은 V=IR 과 P=VI 이다.. 여기서 V=IR은 주로 전압다운과 또 어느정..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1.12.14
98년에 공동제작한 프리엠프 조립설명서.. 요청하신 분이 있으셔서.... 아직도 만들지 못하셨다는군요.. 흑... 프리 부품 리스트 증폭부 파트 품목 규격 수량 R1,2 저항 100KΩ 1/4W 1% 2 R3,4,5,6 저항 200Ω 1/2W 1% 4 R7 저항 270KΩ 1/4W 1% 1 C1,2 커플링 1uF / 200V 2 C3,4 탄탈 100uF / 10V 2 C5 비마 0.1uF / 100V 1 C6 전해 100uF / 25V 1 RY2 RELAY RY-12 1 D2 DIODE 1N4007 1 U1 IC NE555 1 IC ..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1.12.10
98년에 공동제작한 진공관프리 사진 백작프리 공제 1차의 사진입니다. 지금에 비하여 예전것을 보면.. 조금 싸구려틱하지요. 자료사진을 조금씩 올리지요. 그럼.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1.12.09
디지탈 회로 자작시 비드의 사용.. 우리는 디지탈자작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 우리는 emi에 대하여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emi는 디지탈회로내의 주파수 클록회로 또는 이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 생산하여 제공합니다. 비드는 low q 비드와 high q 비드 2가지가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비드는 lo.. 백작의 DIYAUDIO/자작기사 2001.11.25